스몰셀(Small Cell)이란?
-> 스몰셀(Small Cell)은 기존의 높은 송신 전력과 함께 넓은 커버리지를 갖는 *매크로 셀(Macro Cell)과는 달리 낮은 송신전력으로 좁은 커버리지를 갖는 소형 기지국이다. 스몰셀의 범주는 10W급 이하의 소출력 기지구장비, *피코셀, *펨토셀, Wi-Fi 등을 통칭한다.
스몰셀의 가장 큰 장점으로는 매크로 셀에 비해 구축 비용이 적게들고 크기가 작아서 공간 효율성이 높다. 사용하는 이유는 모바일 트래픽 폭증으로 인한 망 과부하와 서비스 품질 저하 이슈가 부각되고 있고, 해결방안으로 스몰셀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폭증하는 모바일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 기존의 매크로 셀의 주파수를 효율을 증대하면서 주파수 효율을 높이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LTE에서 *Heterogeneous Network을 활용하고 있다. *HetNet은 이종 망 네트워크로 매크로 셀을 포함한 다양한 스몰셀로 구성된 네트워크이다. 5G는 LTE보다 더 높은 전송속도를 요구하기에 고도로 밀집된 스몰셀들로 구성되는 *Ultra-Dense Network를 채택한다.
이러한 4G는 높은 기존의 높은 송신전력과 함께 넓은 커버리지를 갖는 매크로 셀을 사용하였지만 5G는 *마이모 기술을 사용하여 여러 개의 스몰셀들을 고도로 밀집시켜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단점은 다수의 스몰셀이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셀 간 간섭으로 인한 통화품질 저하가 우려되는 것이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위한 OAM 관리 표준이 존재한다. 이 부분은 2st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Macro Cell(매크로 셀) : 셀룰러 네트워크픽에 사용되는 셀로서 넓은 범위의 모바일 네트워크 액세스에 무선커버리지를 제공하는 기능이다. 반경35Km 이내 교외 *Pico Cell(피코셀) : 반경 50m 또는 200m 이내, 건물내 *Femto Cell(펨토셀) : 옥내 (사용자 설치) 셀의 크기분류 메가 셀 > 매크로 셀 > 마이크로 셀 > 피코 셀 > 펨토셀 > Wi-Fi *셀 반경에 대한 정확한 기준 수치 정의는 존재하지 않음 *MIMO(마이모) : 다중입력-다중인출을 기본으로 해 여러 안테나가 주고받도록 해 데이터 전송량을 높이는 기술 *Heterogeneous Network(HetNet) : 두 개 이상의 기지국을 혼용하는 '이종'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UDN) : 초밀집 네트워크 |
'5G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4st EMS Network Architecture, EPC의 LTE (0) | 2022.07.07 |
---|---|
1st + 2st (3st) Small Cell(스몰셀), OAM, BSP, Stack, 생산 Tool, Security의 대한 이해 (0) | 2022.07.06 |
2st OAM 이란... (0) | 2022.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