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 Inventor(앱인벤터)

[앱인벤터] App inventor 학교 쓰레기통 관리 시스템

Managemnet S/W saehyeong.woo 2022. 9. 7. 14:24
SMALL

1. 프로젝트 이름: 학교 쓰레기통 관리 시스템

2. 목적 및 필요성

팀원들과 토론을 하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소재는 깨끗한 환경이었습니다. 그리고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건물인 공대 건물의 깨끗한 환경을 유지하는 방법을 도출해내는 결과가 한남대학교 공과 대학교 쓰레기통 관리 시스템입니다. 쓰레기통을 버리는 사람들은 깨끗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자발적인 보고 시스템과 관리자는 전체적인 쓰레기통 확인 통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쓰레기통을 비울 수 있습니다.

3. 프로그램의 개요

1) 개발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첫 화면

-> 학교에서 각 층마다 어떤 부서가 있는지 표현을 했습니다. 쓰레기를 버리고 자신이 버린 쓰레기통이 얼마나 차 있는지 보고하기 위해서는 쓰레기통 상태 보고하기 위해 이동하기 버튼을 누르면 그림(2) 스크린으로 이동하여 쓰레기통 상태를 보고합니다. 쓰레기통을 관리하는 사람은 각 층 쓰레기 상태 확인에서 확인하기 버튼은 누르면 그림(3) 스크린으로 이동하여 전체 쓰레기통을 확인합니다.

그림(1) => 첫 화면
 

그림(2) =>이동하기 버튼 누른 후

 

그림(3)=>확인하기 버튼 누른 후

 

2) 프로그램의 기능 설명

개발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기능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3페이지와 같이 첫 화면은 공과대학교에서 각 층마다 어떤 부서가 있는지 표현을 했습니다. 쓰레기를 버리고 자신이 버린 쓰레기통이 얼마나 차 있는지 보고하기 위해서는 쓰레기통 상태 보고하기 위해 이동하기 버튼을 누르면 그림(2) 스크린으로 이동하여 쓰레기통 상태를 보고합니다. 쓰레기통을 관리하는 사람은 각 층 쓰레기 상태 확인에서 확인하기 버튼은 누르면 그림(3) 스크린으로 이동하여 전체 쓰레기통을 확인합니다.

그림(2)에서 각 1~9층은 100을 기준으로 각 층은 슬라이더를 통해 쓰레기통의 상태를 나타냈습니다. 0~30은 비어있는 쓰레기통 사진이 나오고 30~80은 약간 차 있는 쓰레기통 화면은 80~100은 각 층 마다 찍은 쓰레기통 사진이 나오게 설정했습니다. 쓰레기 잔량 DB 버튼을 누르면 각 층의 쓰레기 상태의 정보가 그림(3)으로 전달됩니다. 쓰레기를 버리는 사람이 쓰레기를 버리고 쓰레기통의 현황을 보고하면 데이터가 DB로 저장됩니다.

그림(2)에서 설정된 값들이 그림(3)으로 넘어와 이전의 쓰레기통의 상태를 확인하고 현재 갱신된 쓰레기통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뿐만아니라 DB 지우기 버튼을 누르면 그동안 저장되어있던 기록이 사라집니다. 관리자가 메인 화면에서 확인하기 버튼을 누르고 그림(3) 화면으로 넘어가면 현재 각 층의 쓰레기통의 상태를 확인하고 가득 차 있는 쓰레기통을 효울적으로 정리 할 수 있습니다.

4. 조원의 프로그램 개발 역할

1) 조원 이름 : 우00

공과대학 휴지통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데 있어 층마다 휴지통이 얼마나 차 있는지 확인하고 기록하여 DB에 저장한다.

기록을 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더를 사용하여 수치를 0~100까지 범위를 지정하고 0~30일 땐 빈 휴지통 이미지가 나오고 31~70일 땐 쓰레기가 차 있는 이미지, 마지막으로 71~100일 땐 꽉 차고 넘친 휴지통 이미지가 나오게 한다.

그리고 슬라이더로 퍼센트 기록하고 휴지통 잔량 DB 기록하기 버튼을 누르게 되면 ‘Full Trash’ 스크린으로 넘어가게 된다. 그렇게 되면 현재 년도 날짜 시간을 기록해준다. 그럼 그 시간 때에 몇 퍼센트였는지 기록할 수 있다. 슬라이더를 아무것도 건들지 않게 되면 0%로 나오기에 기록을 하면 몇 시에 언제 기록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실제 디자인한 이미지

 

Floor_1_2_3의 블록코드

층마다 슬라이더의 값을 전달할 변수를 선언한다.

 

슬라이더의 섬네일 위치가 변경되었을 때 퍼센트 레이블에 텍스트 합치기를 통하여 표시하게 하고 0~30, 31~70, 71~100일 때 앞서 선언한 전역변수에 위칫값을 저장하고 그것에 대해 각각 이미지를 보여주게 저장한다.

 

그렇게 저장한 값들을 시작 값을 전달하며 다른 스크린 열기를 통하여 리스트로 값을 전달한다.

 

Full Trash의 블록코드

리스트값을 시작 값 가져오기로 가져오고 그 값을 시계 센서를 통해서 지금 시간을 출력하고 그것을 타이니 DB1에 전역변수 값을 기록한다. 그리고 그것을 목록뷰를 통해 태그저장 값을 가져오게 된다.

DB의 공간이 넉넉지 않기에 DB를 지울 수 있게 변수값을 텍스트 함수를 사용하여 비우게 한다.

 

2) 조원 이름 : 조00

-현재 개발하고 있는 한남대학교 공학관 쓰레기통 관리 시스템을 제작에 있어서 스크린과 연결성을 위한 블록 코딩을 했습니다. 스크린의 이동 뿐만 아니라 시작전 전체적인 레이아웃의 틀을 설정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첫 화면은 공학관의 1층에서 9층까지를 서술하여 쓰레기통의 상태에 이상이 있는 쓰레기통에 대해 접속하게 하는 연결을 했습니다.

+ 블록 코딩 중 약간의 오류 수정함.

 

3) 조원 이름 : 황00

앱 자체의 디자인과 여러 아이디어를 표출했다. 앱이 어떻게 실행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회의때 작게 그림을 그리면서 앱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아이디어를 내고, 디자인에 대해 의견을 내었다. 또한 앱인벤터를 사용하기 위해 계정을 만들었으며, 다같이 공과대학 쓰레기통의 사진을 찍으로 향했었고 저는 4층과 8층의 쓰레기통의 사진을 촬영하였다.

 

4) 조원 이름 : 이00

-공과대학 1층부터 9층까지 쓰레기통 위치를 파악해 프로그램의 각 층에 쓰레기통 사진을 넣기 위해 층수마다 나누어 사진을 찍었다.

 
 

 

LIST